바가바드 기타 제2장 (정창영, 샤스트리 譯)
[ Bhagavad Gita
Translated by Alladi Mahadeva Sastry
Published by Samata Books, Chennai ]
-----------------------------------------------
제2장 샹키야 요가
(II. SANKHYA YOGA)
1. 크리슈나는 연민憐憫의 눈물 젖은 눈으로 고민苦悶하며 낙담落膽하고 있는 아르주나에게 말했습니다.
1. To him who was thus overcome with pity and afflicted and whose eyes were full of tears and agitated, the destroyer of Madhu spoke as follows:
THE LORD SAID:
2. 아르주나여, 이런 급박急拍한 상황狀況 에서 어찌그리 나약懦弱하게 낙담落膽만하고 있는가? 이런 행동行動은 그대와 같이 고귀高貴한 사람 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일이며, 계속繼續 그러면 진정眞正한 자유自由의 길에서 점점漸漸 멀어지고 수치羞恥스러운 이름만 남게될 것이다.
2. Whence in (this) perilous strait has come upon thee this weakness cherished by the unworthy, debarring from heaven and causing disgrace, O Arjuna ?
3. 아르주나여, 유약懦弱함에서 빠져나오라. 그것은 그대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용감勇敢하게 일어나서 적敵을 무찔러라.
3. Yield not to unmanliness, O son of Pritha. It does not become thee. Cast off this base weakness of heart and arise, O tormentor of foes.
ARJUNA SAID:
4. 크리슈나여, 제가 어떻게 공경恭敬받아 마땅한 비슈마와 드로나 두 어른을 상대相對로 싸울 수가 있겠습니까? 그 훌륭한 어른들을 죽이느니 차라리 평생平生을 거지처럼 빌어 먹는것이 낫겠습니다.
4. O slayer of Madhu, how shall I assail in battle with arrows Bhishma and Drona, who are worthy of worship, O slayer of enemies.
5. 그들은 저의 스승입니다. 제가 제 욕심慾心만 차려 그 분들을 죽인다면, 저에게는 온통 피로 물든 즐거움을 누릴 일만 남게될 것입니다.
5. Better indeed in this world to live even upon alms than to slay the teachers of high honor. But, were I to slay these teachers, I should only in this world enjoy the pleasures of wealth, delights stained with blood.
6. 저는 또한 우리가 저들을 이기는 것이 나은지 아니면 저들이 우리를 이기는 것이 나은지 조차도 모릅니다. 사촌형제四寸兄弟인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들이 지금只今 우리와 대치對峙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들을 죽이고 나면 우리도 살고 싶은 마음이 없을것입니다.
6. And we know not which is the better alternative for us; nor do we know whether we shall conquer them or they will conquer us. Even the sons of Dhritarashtra, after killing whom we do not wish to live, stand arrayed against us.
7. 정말 혼란混亂스러워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지금只今 이 상황狀況에서 어떻게 하는것이 좋은 것입니까? 당신을 스승으로 모실테니 제발 좀 가르쳐 주십시요.
7. My heart contaminated by the taint of helplessness, my mind confounded about Dharma, I ask Thee: tell me what is absolutely good. I am Thy pupil. Instruct me, who have sought Thy grace.
8. 피를 말리는 이 슬픔을 어떻게 하여야 극복克服할 수가 있겠습니까? 이 세상世上과 신神들의 세계世界를 통치統治 하는 권력權力을 손에 쥐거나 부유富裕한 왕국王國을 얻는 것도 다 쓸데없는 짓 같습니다.'
8. I do not indeed see what can dispel the grief which burns up my senses, even after attaining unrivalled and prosperous dominion on earth or even lordship over gods.
9. 위대偉大한 전사戰士 아르주나는 크리슈나에게 이렇게 말한 다음에 '크리슈나여, 나는 싸우지 않겠습니다' 하고는 입을 다물었다.
9. Having spoken thus to Hrishikesa, Gudakesa, the tormenter of foes, said to Govinda, ‘I will not fight’ and verily remained silent
10. 그러자 크리슈나는 양兩 진영陣營 한가운데서 그와같이 낙담落膽하고 있는 아르주나를 보고 도리어 빙그레 웃으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10. To him who was grieving in the midst of the two armies, O descendant of Bharata, Hrishikesa as if smiling, spoke these words:
THE LORD SAID:
11. 그대의 말은 그럴 듯하다. 하지만 그대는 슬퍼할 이유理由가 없는 것에 대해 슬퍼하고 있다. 지혜智慧로운 사람은 산 자를 위해서도 슬퍼하지 않고 죽은 자를 위해서도 슬퍼하지 않는다.
11. For those who deserve no grief thou hast grieved and words of wisdom thou speakest. For the living and for the dead the wise grieve not.
12. 그대와 나와 여기 모여있는 왕王들은 항상恒常 존재存在하고 있었으며, 앞으로도 영원永遠히 존재存在하고 있을 것이다.
12. Never did I not exist, nor thou, nor these rulers of men; and no one of us will ever hereafter cease to exist.
13. 한 사람이 소년少年의 몸과 젊은이의 몸과 늙은이의 몸을 거쳐 가듯이 죽은 다음에는 죽음 다음의 몸을 입는다. 지혜智慧로운 사람은 이런 변화變化에 미혹迷惑되지 않는다.
13. Just as in this body the embodied (Self) passes into childhood and youth and old age, so does He pass into another body. There the wise man is not distressed.
14. 사람은 감각기관感覺機關과 감각대상感覺對象의 접촉接觸에 의하여 차가움과 뜨거움 즐거움과 괴로움을 경험經驗한다. 그러나 이런 경험經驗은 흘러가는 것이다. 일시적一時的으로 왔다가는 것들이니 참고 견뎌라.
14. The sense-contacts it is, O son of Kunti, which causes heat and cold; pleasure and pain; they come and go, they are impermanent. Them endure bravely, O descendant of Bharata.
15. 이런 변화變化가 일어나도 동요動搖하지 않고, 즐거움과 괴로움을 동일同一한 것으로 여기는 사람이 진정眞正으로 지혜智慧로운 사람이며 영원永遠한 생명生命을 얻기에 합당合當한 사람이다. 황소처럼 강인强靭한 정신력精神力으로 이 사실事實을 깨닫도록 하라.
15. That wise man whom, verily, these afflict not, O chief of men, to whom pleasure and pain are same, he for immortality is fit.
16. 존재存在하지 않는 것은 생겨날 수 없고, 존재存在하는 것은 없어지지 않는다. 이 사실事實을 깨달은 사람은 궁극적窮極的인 진리眞理를 깨달은 사람이다.
16. Of the unreal no being there is; there is no non-being of the real. Of both these is the truth seen by the seers of the Essence.
17. 우주만물宇宙萬物속에 충만充滿하게 깃들어 있으며 결코 없어지지 않는 존재存在를 깨닫도록 하라. 이 영원永遠한 실재實在는 어떤 힘으로도 없애 버릴 수가 없다.
17. But know that to be imperishable by which all this is pervaded. None can cause the destruction of That, the Inexhaustible.
18. 육체肉體는 사라져 없어지지만 육체肉體속에 내재內在하는 측량測量할 수 없는 이 실재實在는 영원永遠히 죽지 않는다. 그러니 아르주나여, 아무 염려念慮말고 나가서 싸워라.
18. These bodies of the embodied (Self) who is eternal, indestructible and unknowable, are said to have an end. Do fight, therefore, O descendant of Bharata.
19. 자기自己가 죽이는 자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나 또는 죽임을 당하는 자라고 생각하는 사람, 둘다 무지無知한 사람들이다. 죽는 것도 없고 죽임을 당하는 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대는 태어난적이 없으며, 죽지도 않는다.
19. Whoever looks upon Him as the slayer and whoever looks upon Him as the slain, both these know not aright. He slays not, nor is He slain.
20. 그대는 결코 변하지 않는다. 태어나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으며 태고적太古的부터 존재存在한 영원永遠한 그대는 육체肉體가 죽는다고 해도 죽지 않는다.
20. He is not born, nor does He ever die; after having been, He again ceases not to be; nor the reverse. Unborn, eternal, unchangeable and primeval, He is not slain when the body is slain.
21. 자기自己가 태어 나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으며 죽지도 않는 영원永遠한 존재存在임을 깨달은 사람이 어떻게 다른 사람을 죽이거나 죽일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21. Whoso knows Him as indestructible, eternal, unborn and inexhaustible ? How, O son of Pritha, and whom does such a man cause to slay and whom does he slay?
22. 낡은 옷을 벗어 버리고 새 옷으로 갈아 입듯이 육체肉體속에 살고 있는 참나는 육신肉身이 낡으면 낡은 몸을 벗어버리고 새 몸으로 갈아 입는다.
22. Just as a man casts off worn-out clothes and puts on others which are new, so the embodied (self) casts off worn-out bodies and enters others which are new.
23. 참나는 칼로 벨 수도 없고 불에도 타지 않으며 물에도 젖지 않고 바람으로 말릴 수도 없다. 참나는 벨 수도 없고 태울 수도 없으며 젖게 하거나 마르게 할 수도 없다.
23. Him weapons cut not, Him fire burns not and Him water wets not; Him wind dries not.
24. 참나는 영원永遠하고 무한無限하며 흔들리지 않는 영원永遠한 토대土臺이다.
24. He cannot be cut, nor burnt, nor wetted, nor dried up. He is everlasting, all-pervading stable, firm and eternal.
25. 참나는 겉으로 드러나 있지 않으며 인간人間의 모든 생각 너머에 있어서 사유思惟의 대상對象이 될 수 없다. 그것은 모든 변화變化너머에 있기 때문에 자신自身은 변하지 않는다. 그대는 이런 사실事實을 깨닫고 슬픔에서 벗어 나도록 하라.
25. He, it is said, is unmanifest, unthinkable and unchangeable. Wherefore, knowing Him to be such, thou hadst better grieve not.
26. 아르주나여, 비록 그대가 사람이 태어남과 죽음에 종속從屬된 존재存在라고 믿고 있을 지라도 슬퍼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살아 있는 것은 죽음을 피할 수 없으며, 죽은 자는 반드시 다시 태어나기 때문이다.
26. But even if thou thinkest of Him as ever being born and ever dying, even then, O mighty-armed, thou oughtst not to grieve thus.
27. 나고 죽는 일은 피할 수 없을진대 어찌 죽음때문에 슬퍼해야 겠는가?
27. To that which is born, death is indeed certain; and to that which is dead, birth is certain. Therefore, about the unavoidable thing, thou oughtst not to grieve.
28. 만물萬物은 눈에 보이지 않는데서 시작始作하여 눈에 보이는 현상세계現象世界에 나타난다. 그러다가 마지막으로 다시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世界로 돌아간다. 여기에 뭐 슬퍼할 것이 있는가?
28. Beings have their beginning unseen, their middle seen, and their end unseen again. Why any lamentation regarding them ?
29. 참나의 찬란燦爛함을 보는 사람은 드물다. 그것을 설명說明하는 사람도 드물다. 또 설명說明을 해도 듣는 사람이 드물며, 들었다고 해도 대부분이 이해理解하지 못한다.
29. one sees Him as a wonder; and so also another speaks of Him as a wonder; and as a wonder another hears of Him; and though hearing, none understands Him at all.
30. 아르주나여, 모든 육체肉體속에 내재內在하는 참나는 영원永遠하다. 결코 죽일 수 없다. 그러니 슬퍼하지 마라.
30. He, the embodied (Self) in every one’s body, can never be killed, O descendant of Bharata. Wherefore thou oughtst not to grieve about any creature.
31. 전사戰士로서의 그대의 의무義務를 생각하고 흔들리지 않도록 하라. 전사戰士에게는 정의正義를 위爲해 싸우는 것보다 더 좋은 길이 없다.
31. Having regard to thine own duty also, thou oughtst not to waver. For, to a Kshatriya, there is nothing more wholesome than a lawful battle.
32. 아르주나여, 정의正義를 위한 이런 전쟁戰爭에 참여參與하게 된 전사戰士는 기뻐해야 한다. 이런 전쟁戰爭에서 자신自身의 의무義務를 다함으로써 하늘나라에 들어갈 기회機會가 온 것이기 때문이다.
32. Happy Kshatriya, O son of Pritha, find such a battle as this, come of itself, an open door to heaven.
33. 그대가 정의正義를 위한 이런 전쟁戰爭에 참여參與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죄罪를 짓는 일이고, 의무義務를 저버리는 일이며, 그대의 명예名譽를 더럽히는 일이다.
33. Now if thou wouldst not fight this lawful battle, then having abandoned thine own duty and fame, thou shalt incur sin.
34. 그러면 사람들은 그대의 수치羞恥스러운 행동行動을 두고두고 얘기할 것이다.
34. People, too, will recount thy everlasting infamy; and to one who has been esteemed, infamy is more than death.
35. 존경尊敬받아야할 사람이 명예名譽스럽지 못한 행동行動을 하는것은 죽는것보다 못한것이다.
35. The great car-warriors will think thou hast withdrawn from the battle through fear; and having been hitherto highly esteemed by them, thou wilt incur their contempt.
36. 용감勇敢한 전사戰士들은 그대가 겁怯이나서 도망逃亡쳤다고 할 것이며, 그대를 존경尊敬하던 자들도 그대를 경멸輕蔑할 것이다. 그리고 그대의 적敵들은 도저히 입에 담을수 없는 말로 그대를 조롱嘲弄할 것이다. 이 보다 더 고통苦痛스러운 일이 어디 있겠는가?
36. Thy enemies, too, scorning thy power, will take many abusive words. What is more painful than that ?
37. 그대가 전쟁戰爭에서 죽는다면 하늘나라에 이를 것이요, 승리勝利 한다면 이 땅에서 즐거움을 누릴 것이다. 그러므로 아르주나여, 싸우겠다는 확고確固한 결단決斷을 하고 일어나라.
37. Killed, thou wilt reach heaven; victorious, thou wilt enjoy the earth. Wherefore, O son of Kunti, arise, resolved to fight.
38. 고통苦痛과 즐거움, 얻음과 잃음, 승리勝利와 패배敗北를 동일同一한 것으로 보고 이 위대偉大한 전투戰鬪에 뛰어 들어라. 그러면 그대는 악惡에서 벗어날 것이다.
38. Then, treating alike pleasure and pain, gain and loss, success and defeat, prepare for the battle and thus wilt thou not incur sin.
39. 아르주나여, 나는 지금 진리眞理에 대對하여 이론적理論的인 설명說明(샹카)을 했다. 이제는 그 이론理論을 실천實踐(요가)하는 것에 대해 말해 주겠다.
39. This, which has been taught to thee is wisdom concerning Sankhya. Now listen to wisdom concerning Yoga, which possessing thou shalt cast off the bond of action.
40. 이 실천實踐을 통通해 그대는 행위行爲(카르마)의 속박束縛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 이 실천實踐의 길(요가)에서는 어떤 노력努力도 결코 헛되지 않고 점점漸漸더 나은 상태狀態로 나아간다. 영적靈的인 깨달음을 위한 아주 작은 노력努力일지라도 그대를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해줄 것이다.
40. There is no loss effort here, there is no harm. Even a little of this devotion delivers one from great fear.
41. 이 길을 가는 사람은 참자아自我를 깨닫겠다는 오직 한가지 목표目標를 향해 흔들리지 않고 전진前晋한다. 하지만 결단력決斷力이 없는 사람들은 끊없이 이것저것을 쫓아 다닌다.
41. Here, O son of Kuru, there is one thought of a resolute nature. Many-branched and endless are the thoughts of the irresolute.
42. 아르주나여, 무지無知한 사람들은 경전經典에 기록記錄되어 있는 말들을 최고最高로 여기고, 미사여구美辭麗句를 동원動員하여 그것을 떠벌린다. 그러나 그들의 마음은 이기적利己的인 욕망欲望으로 가득 차 있으며, 그들이 말하는 천상天上의 복락福樂이란 자신自身들의 욕망欲望을 투사投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42~44)
43. 그들은 쾌락快樂과 초능력超能力을 얻기 위하여 갖가지 특별特別한 의식儀式을 거행擧行한다. 하지만 그들은 욕망欲望에 따른 행위行爲로 인해 끊임없이 나고 죽는 윤회輪廻의 바다에서 헤어 나오지 못한다.
44. 감각感覺의 쾌락快樂과 초능력超能力을 추구追求하는 사람은 지고至高의 목표目標를 향해 나아갈 수 없으며, 궁극적窮極的인 깨달음의 경지境地인 삼매三昧에 도달到達 하지도 못한다.
42-44. No conviction of a resolute nature is formed in the mind of those who are attached to pleasures and power and whose minds are drawn away by that flowery speech which the unwise? enamoured of Vedic utterances, declaring there is nothing else, full of desire, having svarga as their goal ? utter, (a speech) which promises birth as the reward of actions and which abounds in specific acts for the attainment of pleasure and power, O son of Pritha.
45. 베다 경전經典들은 이 세상世上을 구성構成하고 움직이고 있는 세가지 구나(기운;氣運)에 대해 설명說明하고 있다. 아르주나여, 그러나 그대는 이 세가지 구나의 활동活動을 초월超越해야 한다. 마음을 통제統制하여 모든 이원성二元性을 넘어가야 한다. 얻고자 하는 마음이나 얻은 것을 쌓아 놓고자 하는 욕망欲望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리하여 진정眞情한 그대 자신自身안에 머물러야 한다.
45. The Vedas treat of the triad of the gunas. Be, O Arjuna, free from the triad of the gunas, free from pairs, free from acquisition and preservation, ever remaining in the Sattva and self-possessed.
46. 온 천지天地가 물로 가득 차 있다면 작은 물병은 별로 쓸데가 없다. 마찬가지로 깨달음을 얻어 온 천지天地가 신성神性으로 충만充滿함을 보고 있는 사람에게는 경전經典이 필요必要하지 않을 것이다.
46. What utility there is in a reservoir by the side of an all-spreading flood of water, the same (utility) there is in all Vedas for an enlightened Brahmana.
47. 그대의 의무義務는 그대가 하여야 할 일을 하는 것이다. 행위行爲의 결과結果는 그대가 관여關與할 부분部分이 아니다. 행위行爲의 결과結果에 대한 기대期待를 가지고 그것을 목적目的으로 행해서는 안된다.
47. Thy concern is with action alone, never with results. Let not the fruit of action be thy motive, nor let thy attachment be for inaction.
48. 아르주나여, 진정眞情한 그대 자신自身 안에 머물면서 성공成功과 실패失敗를 평등平等하게 여기고, 이기적利己的인 욕망欲望에 대한 집착執着을 버리고 그대의 의무義務를 수행修行하라. 그러면 어떤 상황狀況에서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절대絶對 평정平定을 유지維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상태狀態가 바로 요가이다.
48. Steadfast in devotion do thy works, O Dhananjaya, casting off attachment, being the same in success and failure. Evenness is called Yoga.
49. 행위行爲의 결과結果에 대한 집착執着을 포기抛棄하는 지혜智慧를 피난처避難處로 삼아라. 그러면 충만充滿한 영적靈的인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행위行爲의 결과結果에 대한 욕망欲望을 가지고 행동行動하는 사람은 불행不幸하다. 그들에게는 자신自身이 바라는 결과結果에 대한 목마름이 그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49. Verily action is far inferior to devotion in wisdom (buddhi-yoga), O Dhananjaya. In wisdom (buddhi) seek thou shelter. Wretched are they whose motive is the fruit.
50. 그러나 이원성二元性을 넘어 마음의 평정平定을 획득獲得한 사람은 아무것도 갈망渴望하지 않는다. 그들은 좋게 되든 나쁘게 되든 결과結果를 염려念慮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요가 수행修行에 헌신獻身하라. 요가는 진정眞正한 행위行爲의 기술技術이기 때문이다.
50. He who is endued with wisdom casts off here both good deeds and bad deeds. Wherefore apply thyself to devotion. In regard to actions devotion is a power.
51. 지혜智慧로운 사람은 끊임없이 윤회輪廻의 원인原因이 되는 행위行爲의 결과結果에 대한 집착執着을 포기抛棄한다. 그리하여 그들은 모든 불행不幸에서 벗어난다.
51. For, men of wisdom cast off the fruit of action; possessed of knowledge (and) released from the bond of birth, they go to the place where there is no evil.
52. 그대 마음이 이미 이원성二元性의 혼돈混沌을 극복克服했다면 지금까지 배운것들과 지금 듣고 있는 모든 것이 별로 중요重要하지 않다.
52. When thy mind shall cross beyond the mire of delusion, then wilt thou attain to a disgust of what is yet to be heard and what has been heard.
53. 경전經典의 현란絢爛한 말과 가르침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깊은 사마디에 안주安住할 수 있을 때, 그대는 완전完全히 요가 상태狀態를 성취成就하게 될것이다.
53. When thy mind, perplexed by what thou hast heard, shall stand firm and steady in the Self, then wilt thou attain Yoga.
ARJUNA SAID:
54. 오! 크리슈나여, 삼매三昧에 안주安住하여 참자아自我에 대한 깨달음이 흐트러지지 않는 사람의 모습模襲은 어떠합니까? 그들은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앉으며, 어떻게 걷습니까?
54. What, O Kesava! Is the descript-xion of one of steady knowledge, who is constant in contemplation ? How does one of steady knowledge speak, how sit, how move ?
THE LORD SAID:
55. 아르주나여, 그들은 모든것 속에서 자기自己를 보고 자기自己속에서 모든 것을 보는 지혜智慧에 안주安住한다. 그들은 이기적利己的인 욕망欲望과 감각感覺의 쾌락快樂에 대한對한 갈망渴望을 포기抛棄한 사람들이다.
55. The Lord said: When a man, satisfied in the Self alone by himself, completely casts off all the desires of the mind, then is he said to be one of steady knowledge.
56. 그들은 괴로움 속에서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으며, 즐거움을 누리면서도 그것을 갈망渴望하지 않는다. 그들은 탐욕貪慾과 두려움과 분노憤怒에서 벗어 났으며, 생각의 흐름이 출렁이지 않는다. 이런 사람이 진정眞情으로 지혜智慧로운 사람이다.
56. He whose heart is not distressed in calamities, from whom all longing for pleasures has departed, who is free from attachment, fear and wrath, he is called a sage, a man of steady knowledge.
57. 어떤 것에도 애착愛捉을 갖지 않고, 좋은일을 만나든지 나쁜일을 만나든지 좋아하거나 싫어하지 않은 사람, 이런 사람이 확고確固한 깨달음을 얻은 사람이다.
57. Whoso, without attachment anywhere, on meeting with anything good or bad, neither exults nor hates, his knowledge becomes steady.
58. 확고確固한 깨달음을 얻은 사람은 거북이 껍질속으로 손발을 끌어들이듯이 감각感覺의 대상對象으로 향하던 자신自身의 감각感覺을 거두어 들인다.
58. When he completely withdraws the senses from sense-objects, as the tortoise (withdraws) its limbs from all sides, his knowledge is steady.
59. 감각感覺을 대상對象으로 거두어 들여도 그에 대한 갈망渴望은 한동안 남아있다. 하지만 지고至高한 참나를 깨닫는 순간瞬間 감각感覺의 쾌락快樂에 대한 모든 갈망渴望이 사라져 버린다.
59. Objects withdraw from an abstinent man, but not the taste. on seeing the Supreme, his taste, too, ceases.
60. 아르주나여, 감각感覺의 힘은 아주 강하다. 깨달음을 위해 구도求道의 길을 가는 사람조차도 감각感覺의 힘에 휩쓸려 버릴 수 있다.
60. The dangerous senses, O son of Kunti, forcibly carry away the mind of a wise man, even while striving (to control them).
61. 모든 감각기관感覺機關을 제어制御하면서 그 마음을 참나(또는 神)에게 집중集中하는 사람은 흔들리지 않는 지혜智慧를 얻는다.
61. Restraining them all, a man should remain steadfast, intent on Me. His knowledge is steady whose senses are under control.
62. 감각感覺의 대상對象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있으면 집착執着이 생긴다.
62. When a man thinks of objects, attachment for them arises. From attachment arises desire; from desire arises wrath.
63. 집착執着은 욕망欲望을 낳고 욕망欲望이 채워지지 않으면 분노憤怒가 일어나며, 분노憤怒는 판단력判斷力을 흐리게 한다.
63. From wrath arises delusion; from delusion, failure of memory; from failure of memory, loss of conscience; from loss of conscience he is utterly ruined.
64. 그러면 과거過去의 실수失手에서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고 같은 잘못을 반복反復하게 되며, 올바른 선택選擇을 할 수있는 힘이 사라진다. 그리하여 결국結局에는 삶이 황폐荒廢해진다.
64. He attains peace, who, self-controlled, approaches objects with the senses devoid of love and hatred and brought under his own-control.
65. 그러나 그대가 감각感覺의 세계世界에 살면서도 좋고 싫음을 초월超越 한다면 모든 슬픔이 사라진 평화平和가 찾아 올것이며 참나 아트만에 대한 깨달음이 흔들림없이 지속持續 되리라.
65. In peace there is an end of all his miseries; for, the reason of the tranquil-minded soon becomes steady.
66. 감각기관感覺機關을 제어制御하지 못하면 지혜智慧가 멀어지고 집중集中하여 명상冥想하지 못한다. 집중集中하여 명상冥想하지 못하면 평안平安을 얻을 수 없고, 평안平安이 없다면 어찌 즐거움이 있을 수 있겠는가?
66. There is no wisdom to the unsteady, and no meditation to the unsteady, and to the un-meditative no peace; to the peaceless, how can there be happiness?
67. 그대의 마음이 감각感覺의 요구要求에 따라 이리저리끌려 다닌다면, 거센 바람이 작은 배를 집어삼키듯이 그대의 지성知性과 판단력判斷力이 감각感覺속에 매몰埋沒되어 버리고만다.
67. For, the mind which yields to the roving senses carries away his knowledge, as the wind (carries away) a ship on water.
68. 그러므로 아르주나여, 강한 힘을 발휘發揮하여 감각기관感覺機關의 좋아함과 싫어함에서 벗어나도록 하라. 진정眞情한 그대 자신自身에대한 충만充滿한 깨달음안에 안주安住할 수 있도록하라.
68. Therefore, O mighty-armed, his knowledge is steady whose senses have been entirely restrained from sense-objects.
69. 진정眞情한 자기자신自己自身을 깨달은 사람은 사람들이 앞뒤 구별區別못하는 무지無知의 어둠속에 있을때에 빛을 본다. 세상世上 사람들이 밝은 지혜智慧 라고 하는것들이 그에게는 무지無知의 어둠에 지나지않는다.
69. What is night to all beings, therein the self controlled one is awake. Where all beings are awake, that is the night of the sage who sees.
70. 모든 강물이 바다로 흘러가지만 바다는 넘치지 않고 고요한 것처럼, 감각기관感覺機關의 욕망欲望을 내면內面의 바다로 끌어들이는 사람은 지고至高의 평화平和를 누린다. 하지만 욕망欲望을 쫓는 사람은 결코 평화平和의 바다에 이르지 못한다.
70. He attains peace, into whom all desires enter as waters enter the ocean, which, filled from all sides, remains unaltered; but not he who desires objects.
71. 모든 욕망欲望을 버리고 결과結果에 대해 집착執着하지 않고 행하는 사람, 나와 나의 것이라는 에고 중심주의中心主義를 벗어난 사람은 참된 평안平安에 이른다.
71. That man attains peace, who, abandoning all desires, moves about without attachment, without selfishness, without vanity.
72. 아르주나여, 이것이 바로 지고至高한 경지境地다. 여기에 이른 사람은 더 이상以上 미혹迷惑되지 않는다. 그대는 이 자리에 도달到達하도록 하라. 그리하여 죽음을 넘어 영원永遠으로 들어 가도록 하라.
72. This is the Brahmic state, O son of Pritha. Attaining to this, none is deluded. Remaining in this state even at the last period of life, one attains to the felicity of Brahman.
- 제2장(II. SANKHYA YOGA)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