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삼한(李三漢)

법(法)이란

기른장 2021. 2. 13. 18:20

자연의 가르침은 있는 일에 대한 실상을 밝히는 일을 하고 있다.

사람들이 세상의 실상을 아는 일은 왜 일생을 바쳐도 이루어 내지 못하는가 하는 의문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역사 속에서 석가모니는 일반 사람들을 가르치면서 법(法)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했다. 오늘날에 와서 이 말은 석가모니를 내세우고 있는 종교인 불교를 통해서 불법(佛法)이라는 말로 표현되기도 한다.

 

과연 이 불법이란 어떤 것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가에 대해 확인을 하면서 이러한 일을 있게 하는 세상의 일들을 설명하겠다.

 

불법이란 하나의 현상을 만들어 내는 공식을 말한다. 이 공식은 어떻게 해서 만들어지는가. 우리가 수학을 알기 전에 가장 먼저 숫자를 알아야 한다.

 

숫자를 알아야만 수학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고 풀 수가 있다. 숫자를 모르는 상태라면 수학의 문제를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가 수학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문제에서 앞에 있는 문제와 뒤에 있는 문제가 공식에 의해서 존재하게 될 때 이 공식을 법(法)이라고 말한다.

 

오늘날까지 인간 사회에 수많은 문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항상 수학의 공식이 적용되었고 큰 기여를 했다. 이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수학에서의 공식과 마찬가지로 현상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일들을 법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법칙에 의해서 이런 일이 존재하게 된다는 의미로써 현상계 자체를 법이라고 말한다.

 

그러면 이 법칙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이 법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근원적인 문제를 이해해야 될 것이다.

 

그러면 근원적인 문제라는 것은 어떤 것인가?

 

세상의 일을 있게 만드는 원인을 우리는 근원적인 문제라고 말한다.

 

세상에는 만물이 소생하고 온갖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의 근원은 무엇인가? 만물의 근원은 무엇인가? 를 이해할 수 있어야만 '아! 이런 것이 법이구나!', '이것이 바로 불법이구나!' 하고 이해가 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것은 창조주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사람들의 생각만으로는, 아무 것도 없는 가운데 모든 생명체가 존재하게 되었으니 창조주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보편적으로 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은 절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인간을 소우주라고 말들을 한다. 소우주라는 것은 인간 자체가 하나의 구조역학에 의해서 하나의 생명활동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서 인간의 몸 속에는 여러 기관을 갖고 있는데 이를 구조라고 한다. 이 기관들을 이용해서 사고(思考)를 일으키고 감정을 갖게 되고 움직이게 되는 일들이 인간 자체 내에 있게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의 육체를 소우주라고 말한다.

 

세상 자체도 알고 보면 하나의 구조역학에 의해서 짜여져 있다.

 

모든 것들은 똑같은 하나의 원칙에 의해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원칙에 의해서 우주도 존재하고 지구도 존재하고 인간도 존재하고 또 모든 현상계도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구조역학. 즉 구조의 활동에 의해서 모든 것을 움직이게 한다. 이것은 세상에 힘을 존재하게 하고, 세상은 그 힘에 의해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자동차가 하나의 동력에 의해서 굴러가는 것처럼 세상도 그 구조가 가지고 있는 활동에 의해서 살아서 움직이고 있다.

 

이 세상이 움직이는 동안에 거기에 있는 온갖 물질과 기운이 혼합되게 되면 거기에서는 또 다른 온갖 현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나타나는 현상들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그 속에는 수학의 공식처럼 하나의 공식· 법칙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어떤 생명체가 활동하는 과정에서 다른 힘에 의해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그 속에 있는 법칙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다.

 

산모가 기형아를 낳았다면, 이것은 산모가 아이를 잉태하는 과정에서 생긴 현상일 수도 있고, 또는 사람으로 태어나서는 안될 사람이 사람으로 태어남으로써 의식활동의 부족 즉 사물을 보는 이해의 능력이 뒤떨어지는 기형적인 정신박약자로 삶을 살게 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이 중에서 정신박약자를 보면 두 가지의 형태가 있다. 하나는 신체 기관에 이상이 있는 경우인데 이를 후천적인 정신박약자라 하고, 다른 하나는 신체 기관에 이상이 없는 경우인데 이를 선천적인 정신박약자라고 한다.

 

이 두 가지의 경우를 다시 설명하자면, 선천적이라고 하는 것은 자기 속에 있는 일에 의해서 자기에게 나타나게 되는 것을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났다는 것이고,

 

후천적이라고 하는 것은 자기가 태어나는 과정이나 태어나고 나서 자기의 신체 구조에 의해서 나타나게 된 것을 후천적인 과정에 의해서 있게 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바로 이 모든 것들이 법칙이다.

 

 

불법(佛法)이란 어떤 것을 말하는가?

 

어떤 물질과 어떤 물질이 결합했을 때 거기에는 하나의 현상이 존재하게 된다. 이 현상을 보고 불법이라고 말하는 것이며, 이 현상은 어떤 물질과 어떤 물질의 수치(數値)나 성질(性質)에 의해서 나타나게 되어 있으니 이를 불법이라고 말한다.

 

불법이란, 있는 것들이 가지고 있는 진실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불법에 대해 인간의 문명인 과학적 지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들이 갖고 있는 과학적 지식으로는 인간 자체나 세상의 일을 있게 하는 일들에 대해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

 

사실 과학은 인간이 만들어 왔던 물질 문명 속에 있는 것 외에는 이해할 수 없다. 왜 이해하지 못하는가? 그것은 인간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의식의 한계 때문이다.

 

우리들이 어떤 인연을 통해서 좋은 것을 얻게 되었다고 했을 때, 그것도 하나의 법이다. 하나의 과정 속에 있던 일로 인해서 어떤 일이 나타나게 되었다면 그것을 법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법에 대해서는 세상에서 역사상 석가모니가 가장 많이 밝혔기 때문에 불법(부처의 법)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불법이라고 한다 해서 그것이 석가모니 부처의 전용어이거나 특정의 종교계에서 사용하는 전문용어가 아니라는 점이다.

 

불법이란 세상의 일을 있게 하는 현상자체를 두고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법을 설명할 때, '자연적인 하나의 법칙에 의해서 존재한다'고 설명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부처가 하나의 현상에 대해 가르친 것은 불법이라고 한 것이고, 그 불교를 믿지 않는 사람이 자연계를 설명할 때는,

 

세상은 하나의 법칙에 의해서 존재한다. 어떤 물질이 어떤 물질과 어떤 인연에 의해서 결합되어서 새로운 현상이 있게 된 것은 하나의 법칙에 의해서 그렇게 되었다고 설명할 수가 있다.

 

우리 자신을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자기로 만들어 낼 수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의식(意識)에 대하여 잘 알아야 하겠다.

 

한국 정부에서 내세우기를 의식개혁운동을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지만 말처럼 잘 안 되는 것이 바로 이 의식의 문제이다. 왜냐하면 실제로 이 의식에 대해서 제대로 아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의식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해서 전혀 모르고 있다.

 

인간은 이 세상의 부산물이다.

 

인간들은 세상에 살면서 항상 자기의 영향을 나타내려고 한다.

 

예를 들자면 바닷가에 가서 고등어를 잡는 것도 인간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이고, 산을 허물어 버리는 일도 거기에 인간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번 존재하게 된 일은 쉽사리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활동을 통해서 자기에게 영향을 미치려고 한다.

 

우리 자신 속에 존재하게 된 것들은 우리 자신과 마찬가지로 각각 하나의 자기라는 것을 가지고 있다. 자기라는 생명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

 

인간의 의식은 어떤 일을 만나서 그 영향을 받게 되면 거기에서 새로운 의식이 만들어진다.

 

인간은 수천만 개의 있는 일에 의해서 하나의 의식체를 가지고 있는데 이 의식 속에는 또 수천만 개의 생명체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생명체들은 어떤 일과 어떤 인연이 있을 때마다 태어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우리의 의식 속에는 수천만 개의 생명체들의 활동에 의해서 새로운 의식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생명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자기와 자기의 인연 속에 있던 일로 인해서 자기의 의식 속에 들어와 있는 일을 말한다. 이것들은 인간의 생명 활동에서 계속적으로 자기의 영향을 행사하는 것이다.

 

 

알고 보면 모든 법칙은 수학의 공식처럼 되어 있다.

 

우리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세상 일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세상에 어떤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는가를 아는 일이다. 그리고 그런 문제들이 어떠한 과정에 의해서 풀어지고 만들어지는가 하는 것을 아는 일이다.

 

우리는 자기에 의해서 자기를 통제할 수 있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의식 속에 있는 일에 의해서 모든 것을 판단하고 모든 것을 스스로 신뢰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상의 어느 곳에서도 이러한 법칙의 세계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지 않다. 단지 과학자들의 세계에서만 하나의 문제에 공식을 활용하고 있는데 거기에는 자연계의 법칙을 적용하고 있다. 그래서 색깔을 만들어내고 물질을 만들어내고 또 물질이 갖는 성질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인간은 자연계를 통해서 자기의 의식을 더 좋아지게 하는 법을 얼마든지 배울 수 있지만 누구든지 자기 속에 있는 것들이 끊임없이 활동을 하기 때문에 진실을 받아들이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깨닫기 전에는 진실을 받아들이기가 어렵고, 깨닫게 되면 거짓을 받아들이기가 어렵다고 말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인간의 역사 속에 있었던 성인들의 말을 되새기지 않을 수 없다.

 

 

노자는 말하기를,

"하인(下人)은 진리를 들으면 비웃거나 성을 내고, 중인(中人)은 반신반의하고, 상인(上人)은 기뻐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 세상에서 상인이 과연 어디에 있는지 만나기가 어렵다.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이 그를 이상하게 보고 야유를 하자 말하기를,

"너 자신을 알라."고 했다.

사람들 자신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알라고 충고한 것이다.

 

예수는 사람들이 진리에 눈멀어 있는 것을 보고 가르치려고 하니,

"아버지가 죽었는데 장례를 치르고 따라가겠다."해서

"죽은 자는 죽은 자한테 맡겨라."고 말했다.

그래서 살 자는 산 자를 따라가야 된다는 유명한 일화를 남겼다.

 

그리고 부처는 이런 말을 남겼다.

"일반 사람들은 눈뜬장님과 같다."

사람들은 있는 일을 보아도, 있는 일이 왜 그렇게 있게 되는지를 아무도 모르니까 눈 뜬 장님이라고 말한 것이다.

 

 

사람들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공부는 잘 외운다. 국어, 영어, 수학, 역사...... 이렇게 많은 내용들을 밤낮으로 읽고 머리 속에 집어 넣는다.

 

그런데 왜 이 간단한 법칙 속에 있는 일들은 아무도 들으려 하지도 않거니와 듣고도 그것을 알아보지 못하는가?

 

사람은 자기 속에 있는 것에 의해서 조종을 받고 그 충동에 의해서 움직이게 되는데 자기 속에 없는 것이 나타나면 누구든지 그것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늘날 인간의 세계에 진리적인 가르침이 전해지지 않는 것은 사람들이 업을 지고 있기 때문이며, 진리를 버리고 진리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흔히 말하기를, 많은 종교학자나 철학자들이 연구하고 있지 않겠느냐고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독사에게 물을 주면 독이 되고, 사슴이 물을 먹으면 녹용이 된다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큰 업을 가진 사람이 깨닫지 못한 채 좋은 공부를 하게 되면 그것은 독으로 변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을 자기 속에서 변질시켜 버리기 때문이다.

 

물이 왜 독으로 변하는가? 독사가 먹었기 때문에 독사 몸 속의 기관을 통해서 물이 독으로 변한 것이다. 왜 물이 녹용이 되는가? 사슴이 먹으니까 사슴 몸 속의 기관에서 변해 녹용이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똑 같은 것을 누가 가졌느냐에 따라서 그것은 보물이 될 수도 있고, 흉기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왜 사람들이 좋은 것을 받아들이기가 어려운가? 좋은 일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좋은 일을 받아들이는 게 힘들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강조하고 가장 많이 언급하는 내용은 사랑과 진리이다.

 

'사랑' 그리고 '진리'

 

진리란 현상계를 있게 하는 법칙을 말하는 것이고, 사랑이라는 것은 어떤 대상에 대한 축복을 말하는 것이다.

 

유럽의 헝가리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철학자인 보이드를 만났을 때,

"너는 사랑을 어떻게 배웠으며 어떻게 가르쳐 왔느냐?"라고 묻자

 

보이드는 "사랑은 말할 수 없는 것이다."라고 대답했다.

 

그렇다면 이 철학자는 사랑에 대해서 모른다는 말이다.

 

 

자연의 가르침은 세상 사람들을 위해서 항상 사랑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 사랑은 항상 사람들에게 양심(良心)과 정의(正義)를 알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양심은 마음을 밝히는 길이고, 정의는 세상을 밝히는 길이기 때문에 이런 일을 하는 것이다.

 

밝은 마음을 가지고 밝은 세상에 산다면 인간의 삶에 이보다 더 큰 축복이 어디에 있겠는가? 그래서 세상의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일하지 않는 사람에게 빵을 주고 돈을 주고 먹여 살리는 것은 큰 사랑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과신 행위일 뿐이다. 자기가 동정심이 많고 인간애가 많다는 것을 과신하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자신의 필요에 따라 그렇게 하다가 경우가 달라지면 하지 않는다.

 

세상에서 살아가는 동안 우리를 가장 많이 속이고, 많은 피해를 입히는 대상을 분류해 보면 그것은 위선자들이다. 그들은 항상 착한 사람처럼 미소를 짓고, 항상 정직한 것처럼 말하지만 이들의 이면을 살펴보면 너무나 사악하고 무서운 내막이 숨겨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랑이라는 것은 상대나 대상에게 축복이 되었을 때 사랑이라고 한다.

 

그리고 축복은 어디에서 보아야 하는가? 결과에서 보아야 한다.

 

아무리 노력해도 좋은 결과를 얻지 못했을 때는 '실패한 사랑'이며, 아무리 노력했지만 잘못된 현실을 있게 했을 때는 '잘못된 사랑'이다.

 

세상에서는 실패한 사랑이나 잘못된 사랑은 많아도 진정한 사랑은 보기가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세상이 어둡고, 그 세상에서는 항상 시비가 끊이지 않고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좋은 사랑에 대한 가르침이 없었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연의 가르침이 필요한 것이다. 아무리 세계적인 대학교수나 석학일지라도 자연의 가르침 속에 있는 진실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다.

 

사람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읽거나 듣거나 보아야 할 어떠한 필요성도 없는 것이다.

 

 

자연의 가르침에서 밝히고 있는 것은 세상에서 최고의 지혜이다.

 

세상의 있는 일을 설명하는 내용을 읽다 보면 받아들이기가 어려운 부분이 없지 않겠지만, 항상 하나의 원칙에 따라서 말하고 있으며, 이 원칙이란 수학의 공식과 같은 것으로서 하나의 공식에 의해서 세상의 있는 일을 그대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공식을 빼거나 무시해버리면 그것은 이상(理想)이 된다. 이상이란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인간의 꿈 속에 있는 것은 이상이고, 현실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진실이다.

 

현실에서 진실을 밝히는 것은 현실 철학이다. 그런데 오늘날 세상에서 하고 있는 것은 모두 이상적인 철학을 하고 있다.

 

이상철학에서 이상적인 걸 가르칠 때는 하나의 공식이라는 것이 필요없는 것이다. 그러니까 진실이라는 것은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상철학에서는 진실성 확인이라는 것이 필요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자기도 그것이 이루어질지 않을지 모르는 상태에서 하나의 생각과 이론을 말하고 있기 때문에 어차피 공식은 필요없는 것이고, 만약 공식을 알게 된다면 이상적인 말을 하거나 사람들 앞에 나서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진리는 정신적인 바탕이 좋고, 정신적으로 뛰어난 사람이어야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있는 일을 보고, 있는 일에 대한 결과를 말하는 것을 진리적인 가르침이라 하고 진리적인 해답이라고 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있는 일을 보지 못한다면 이러한 공식·법칙을 알 수가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먼저 숫자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숫자를 알고 그 공식만 알면 누구든지 그 숫자가 갖고 있는 문제를 알아볼 수 있다. 그리고 공식을 이해하면 누구든지 이 문제는 풀어낼 수 있게 된다.

 

힘의 논리에 의해서는 하나의 원칙을 벗어나도 얼마든지 존재할 수 있다. 힘의 논리라는 것은 어떤 사회적 환경 또는 그 환경을 지배하는 쪽에서 거짓도 진짜처럼 만들어 낼 수가 있다.

 

원칙을 벗어나서 존재하는 일들은 항상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 문제는 경우에 따라서 사람들과 사회에 엄청난 피해를 안겨다 줄 수도 있다.

 

세상이라는 것은 현실을 알게 되면 하나의 공식만으로 미래와 과거와 현재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 것은 무지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현실 속에서는 현실을 알아야 하고 현실을 배워야 한다.

 

이 현실 속에 있는 일들을 배우고 깨닫게 되면 자기 속의 모든 문제를 푸는 길을 알게 되는 것이다.

 

 

신은 신의 세계에 살게 하고, 인간은 인간의 세계에 살아야 한다.

 

예로부터 이런 말이 있다.

"산 자와 죽은 자가 함께 있으면 되는 일이 없다."

 

죽은 자가 산 자를 자꾸 괴롭히니까 산 자는 괴로움에 빠지게 되는데 왜 사람들은 제사를 지내거나 죽은 자들을 청하는지 알 수 없다.

 

무지하고 애착이 너무 커서 윤회하지 못한 영혼들이 인간에게 붙어서 온갖 고통을 안겨주고 그 귀신도 고통받는데, 이 무지한 귀신이 자기 조상이라는 보장은 어디에 있는가?

 

죽은 영혼이 조상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한들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도 않는데 어떻게 그것을 자기의 조상신이라고 믿을 것인가? 오히려 그것은 자기 조상에 대한 모욕이 될 뿐이다.

 

한 번 신(죽은 영혼)과 접촉하게 되면 그 사람은 항상 그 신의 조종을 받게 된다. 그렇게 되면 건강할 수 없고, 가정이 화목할 수 없고, 가정이 평화스러울 수 없으니 결국 자기가 행복해 질 수 없는 것이다.

 

의식은 내 속에 있는 수천만 개의 일들이 쌓이고 쌓여서 하나의 영체를 형성하고 있다. 이 영체는 속에서 나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들을 계속하게 된다. 즉 같은 성질은 받아들이고 다른 성질은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다.

 

기운이 어두우면 밝은 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기운이 밝으면 어두운 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한다.

 

나쁜 힘이 강하면 좋은 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좋은 힘이 강하면 나쁜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어둠은 빛이 있는 곳으로 오려고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빛에게 부딪쳐서 깨지면 죽기 때문이다.

 

빛은 어둠이 있는 곳으로 가려고 하지 않는다. 어둠에 갇히면 빛이 죽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인간의 의식 속에도 같은 성질이 존재하는 것이다.

 

모든 길은 현실에 있다. 세상에는 어떠한 것도 다 존재한다. 다만 지금까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우리가 찾아내지 못했다는 것뿐이다.

 

숫자를 알면 이 숫자를 가지고 수억만 개의 문제를 만들어도 다 만들 수는 없는 것이다. 진리도 이와 같다.

 

있는 일을 가져다가 다른 것과 결합을 하면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고, 또 어떤 물질을 만들어 보면 또 다른 현상이 나타나고, 이러다 보면 사람들은 늙어서 죽게 되는 것이다.

 

세상의 작은 일부분만 알고 죽게 되더라도, 세상의 일을 있게 하는 일의 그 일부분만이라도 알고 죽는다면, 죽어서 불쌍한 귀신이 되어서 인간 세상을 떠돌아다니는 고생은 하지 않는다.

 

윤회가 되거나 영생이나 최고 차원의 세계로 가게 되는 것이다. 왜 이 세상에는 온갖 현상들이 존재하는가?

 

이것은 이 세상에는 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법 속에는 온갖 현상을 만들어내는 원인이 있다.

 

바로 이것이 인연이다. 인연에 의해서 모든 것은 존재해 갈 수 있다. 누구나 스스로 배우고 깨달아서 좋은 인연을 지어야 한다.

 

그래서 우리의 미래를 끝없이 밝은 날로 약속하고, 우리 자신에 의해서 끝없는 미래를 존재하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세상의 일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며, 세상의 일을 이해함으로써 좋은 인연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출처 : www.natureteaching.com/teaching/7ho/tkjip7.htm

 

'인물 > 이삼한(李三漢)'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과(因果)의 법  (0) 2021.02.13
인간과 신(神)  (0) 2021.02.13
정의(正義)를 말한다  (0) 2021.02.13
인간은 '일회용'인가?  (0) 2021.02.13
사랑이란  (0) 2021.02.13